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유클리드 호제법
- 11004
- 최대공약수
- 백준
- PaaS
- level1
- 짝수
- algorithm
- aws
- IaaS
- IntelliJ
- 데이터타입
- valueof
- 11652
- 알고리즘
- SaaS
- parseInt
- 최대공배수
- 2진수
- 자료형
- 홀수
- 웹 서버
- 문자열 숫자 변환
- 온프레미스
- 프로그래머스
- Python
- 프로젝트 생성
- java
- INT
- 리스트
- Today
- Total
목록DevOps (16)
Ga0Lee
호스트에서 컨테이너로 파일 전송하기터미널1 = 호스트터미널2 = 컨테이터 내부터미널1을 통해 호스트에 존재하는 파일을 컨테이너로 전송하고 터미널 2를 통해 컨테이너에 전송된 파일을 확인해보자.터미널1work/ch04/ex01 디렉토리에 test01.txt 파일을 만들고 현재 위치의 절대경로를 파악한다.cd workmkdir ch04lscd ch04mkdir ex01lscd ex01vim test01.txtHello, I am Gayeong.cat test01.txtpwd터미널2docker container run -it ubuntucd homels터미널1터미널1에서 실행중인 컨테이너 목록을 확인하고호스트에 존재하는 파일을 컨테이너 내부로 복사한다.gayeong@myserver01:~/work/ch04/e..
네트워크 구조를 확인하기 위해 컨테이너를 실행하고 내부에 접속한다.도커 호스트 인터페이스docker0도커를 설치할 때 함께 설치되는 인터페이스도커 호스트와 컨테이너를 연결enp0s3도커 호스트 자체적으로 보유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veth007a900가상 인터페이스컨테이너 내부의 eth0과 도커 호스트의 docker0을 연결도커 네트워크 확인docker network lsbridge 드라이버컨테이너를 생성할 때 제공하는 기본 네트워크 드라이버각 컨테이너는 각자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가진다.도커 호스트의 docker0과 바인딩된다.host 드라이버컨테이너를 생성할 때 컨테이너 자체적으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가지지 않고 호스트 네크워크 인터페이스를 공유한다.none 드라이버실행한 컨테이너가 네트워크 인터페..
실행 과정클라이언트에서 docker container run [이미지명] 입력한다.도커 호스트의 데몬이 실행 명령을 요청받고 도커 호스트에 있는 이미지를 컨테이너 형태로 실행한다.이미지를 컨테이너로 실행하기이미지는 미리 pull 받아놓음docker container run ubuntudocker container run python:3.11.6도커 컨테이너 목록 확인 docker container ls아무런 컨테이너가 출력이 되지 않는다.python, ubuntu는 실행 중인 컨테이너가 아니기 때문에 목록에서 확인할 수 없는 것이다.docker container ls -a-a 옵션을 주면 실행 중인 컨테이너와 정지 상태인 컨테이너 모두 확인할 수 있다.컨테이너 내부 접속docker container ru..
Docker Image 구조Image Index이미지를 다운로드할 때 결과창에 출력되는 digest매니페스트 리스트 : 이미지 인덱스는 다수의 이미지 매니페스트로 구성되어 있다.Image Manifestconfig + layers다양한 운영체제 및 아키텍처에서 해당 이미지를 활용할 수 있도록 설정값과 다양한 레이어들을 제공한다.Config컨테이너 이미지가 어떻게 만들어졌고, 어떻게 실행 가능한지 (환경변수, 커맨드) 등등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담겨있다.Layertar 형식으로 압축된 각 레이어에 대한 파일이다.이미지를 다운로드할 때 결과창에 출력되는 digest매니페스트 리스트 : 이미지 인덱스는 다수의 이미지 매니페스트로 구성되어 있다. Docker Image 다운로드태그 이름 이용docker image..
사전 준비 사항1. 통신 환경 설정도커를 설치하기 위해 필요한 도커 리포지토리와 통신할 수 있는 환경을 설정한다.sudo apt-get updatesudo apt-get install ca-certificates curl gnupg lsb-releaseapt-get 패키지 인덱스를 업데이트한다.apt가 HTTP에서 리포지토리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데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한다.ca-certificates : 인증서 관련 패키지curl :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패키지gnupg : 디지털 서명을 사용하기 위한 패키지lsb-realease : 리눅스 배포판 식별을 위해 필요한 패키지2. GPG키 추가GPG ; GNU Privacy Guard도커 이미지 인증을 확인할 때 사용하는 키이다.sudo mkdir ..
사전 기초 지식도커를 이해하기 위해선 운영체제, 프로그램, 스레드, 네임스페이스와 같은 개념을 먼저 이해해야 한다.운영체제의 개념운영체제컴퓨터 = 하드웨어 + 소프트웨어운영체제 = 시스템 소프트웨어운영체제가 있어야 프로그램들이 실행될 수 있다.운영체제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자원을 관리하고 스케줄링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셸 Shell운영체제와 애플리케이션 사이 존재하는 프로그램운영체제와 사용자 사이에서 다리 역할을 한다.프로그램, 프로세스, 스레드의 개념프로그램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프로그램은 하드 디스크와 같은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 있지만 메모리에는 올라가지 않은 정적인 상태를 의미한다.프로세스실행 중인 프로그램메모리에 올라가 있는 동적인 상태의 프로..
가상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선 IP주소가 필요하다.ifconfig 명령어를 입력하면 화면과 같이 두 가지의 inet 주소가 나온다.10.0.2.6 : 가상 머신의 로컬 네트워크 주소127.0.0.1 : 로컬 호스트 주소 또는 loopback 주소로 가상 머신이 자체적으로 자신과 통신할 때 사용되는 주소이다. IP 주소 127.0.0.1 의 의미 - 루프백(loopback) or 로컬호스트(localhost) 주소네트워크에선 특수한 IP 주소로 127.0.0.1이라는 IP 주소가 있다. 한 번씩 봤을 법한 주소인데, 이는 루프백(loopback) 혹은 로컬호스트 주소(localhost)라고도 불린다. 네트워크 통신이란 인터넷 상에 존woo-dev.tistory.com PuTTy로 가상 머신 접속하기Host ..
NAT 네트워크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은 가상 머신에서 외부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방법이다.도구 > 네트워크 속성 > NAT 네트워크 ubuntu-server01 > 설정 > 네트워크다음에 연결됨 : NAT 네트워크 선택서버 실행 후 ifconfig로 IP 주소를 확인한다.IP : 10.0.2.6 포트포워딩[외부 IP : 포트번호] 와 [내부 IP : 포트번호] 를 연결해주는 것이다.별도의 설정 없이 외부 IP가 접속을 시도한다면 내부에 어떤 프로세스 또는 기기와 연결해야하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포트포워딩을 통해 매핑한다. 다시 도구 > 속성 > NAT 네트워크 > 포트 포워딩+ 버튼을 누르고호스트 포트 : 22게스트 IP : myserver01의 IP주소게스트 포트..
가상머신에 우분투 설치하기생성한 가상머신에 우분투 운영체제를 설치해야 한다.운영체제를 설치하기 이전에 가상머신 설정을 해야 한다.디스플레이 -> 비디오 메모리 : 128MB이렇게 하지 않으면 가상머신의 화면이 보이지 않을 수 있다.다음은 저장소 설정을 변경한다.앞서 다운로드한 우분투 이미지를 추가한다.이미지를 잘 추가했다면 확인을 클릭한다.이제 설정이 완료된 가상머신을 시작하여 우분투를 설치해보자.Try or Install Ubuntu Server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English를 선택한다.키보드 입력은 Korean으로 선택한다.네트워크 설정은 건드리지 않고 넘어간다.프록시 설정도 건드리지 않고 넘어간다.저장소 레이아웃 설정하는 것도 건드리지 않고 넘어간다.시스템 계정 관련 정보를 입..
가상머신 생성하기새로 만들기를 클릭한다.가상머신 이름 : ubuntu-server01운영체제 종류 : Linux운영체제 버전 : Ubuntu (64-bit)기본 메모리 : 8192MBProcessors의 CPU 개수 : 4쿠버네티스를 실행하려면 8192MB, 4개 이상이어야 한다.하드디스크 크기 : 100GB설정한 내용 확인하고 완료를 클릭하면 가상머신이 생성된다.생성된 가상 머신은 아래의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다. 비디오 메모리 : 128MB이렇게 하지 않으" data-og-host="ga0lee.tistory.com" data-og-source-url="https://ga0lee.tistory.com/entry/DevOps-%EC%8B%A4%EC%8A%B5%ED%99%98%EA%B2%BD-%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