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Python
- 최대공약수
- SaaS
- 온프레미스
- 프로젝트 생성
- 자료형
- 프로그래머스
- 2진수
- 백준
- PaaS
- 11004
- java
- 문자열 숫자 변환
- aws
- valueof
- 짝수
- INT
- IaaS
- 알고리즘
- 유클리드 호제법
- 최대공배수
- level1
- IntelliJ
- parseInt
- 데이터타입
- 11652
- 웹 서버
- 리스트
- algorithm
- 홀수
- Today
- Total
목록algorithm (13)
Ga0Lee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40 코딩테스트 연습 -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 두 수를 입력받아 두 수의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를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 보세요. 배열의 맨 앞에 최대공약수, 그다음 최소공배수를 넣어 반환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두 수 3, 12의 programmers.co.kr 최대공약수 최대공약수를 구하는 방법 중 가장 쉬운 공식에는 유클리드 호제법이 있다. 유클리드 호제법이 무엇인지 알기에 앞서 왜 쓰는 지에 대해서 알아보자. 2개의 자연수를 받아 최대공약수를 구하기 위해 1부터 두 자연 수 중 작은 자연수까지 모두 나누어 보면 최대공약수를 구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의 시간복잡도는 O(N)이다...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69 코딩테스트 연습 - 직사각형 별찍기 이 문제에는 표준 입력으로 두 개의 정수 n과 m이 주어집니다. 별(*) 문자를 이용해 가로의 길이가 n, 세로의 길이가 m인 직사각형 형태를 출력해보세요. 제한 조건 n과 m은 각각 1000 이하인 자연수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이 문제에는 표준 입력으로 두 개의 정수 n과 m이 주어집니다. 별(*) 문자를 이용해 가로의 길이가 n, 세로의 길이가 m인 직사각형 형태를 출력해보세요. 제한 조건 n과 m은 각각 1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풀이 import java.util.Scanner; class Solution { public static v..

코드 import sys str = sys.stdin.readline().rstrip() arr = [] for i in range(len(str)): arr.append(str) str = str[1:] arr.sort() for i in arr: print(i) 입출력

코드 import sys a, b, c, d = input().split() num1 = "" num2 = "" num1 += a+b num2 += c+d print(int(num1) + int(num2)) 입출력

코드 import sys str = sys.stdin.readline().rstrip("\n") print(len(str)) 엔터 입력을 무시해줘야 정확한 단어 길이가 나온다. rstrip("\n")가 없는 경우 아래 단어의 출력 값이 9로 나온다. 입출력

ASCII CODE 값 'A' ~ 'Z' : 65 ~ 90 'a' ~ 'z' : 97 ~ 122 0 ~ 9 : 48 ~ 57 코드 import sys while True: str = sys.stdin.readline().rstrip("\n") if not str : break alphabet =[0] * 4 for i in str: if ord(i) > 96 and ord(i) 64 and ord(i) 47 and ord(i) < 58 : alphabet[2] += 1 elif i == " " : alphabet[3] += 1 print(*alphabet) str = ..

알파벳 개수 찾는 문제와 거의 동일하다. 리스트를 -1로 초기화하고 해당 알파벳의 인덱스에 입력받은 알파벳의 인덱스 값을 넣어주면 된다. 코드 import sys alphabet =[-1] * 26 str = sys.stdin.readline().rstrip() for i in range(len(str)): if(alphabet[ord(str[i]) - 97] == -1 ): alphabet[ord(str[i]) - 97] = i print(*alphabet) 입출력

알파벳 하자마자 아스키 코드가 생각났다. 파이썬에선 아스키코드 값을 반환하는 내장함수 ord()가 존재한다. 틀린 코드 import sys alphabet =[0] * 26 str = sys.stdin.readline() for i in str: alphabet[ord(i) - 97] += 1 print(*alphabet) 입출력 문자열을 입력받을 때 sys.stdin.realine().rstrip()으로 바꿔주니 문제가 해결됐다. 코드 import sys alphabet =[0] * 26 str = sys.stdin.readline().rstrip() for i in str: alphabet[ord(i) - 97] += 1 print(*alphabet) 입출력 아 그리고 처음엔 리스트를 공백으로 구분하..

큐와 비슷하지만 덱은 양쪽에서 push, pop이 가능하다. 코드 import sys n = int(input()) deque = [] for i in range(n): command = sys.stdin.readline().split() if command[0] == 'push_front' : deque.insert(0,command[1]) elif command[0] == 'push_back' : deque.append(command[1]) elif command[0] == "pop_front" : if len(deque) == 0 : print(-1) else : print(deque.pop(0)) elif command[0] == "pop_back" : if len(deque) == 0 : p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