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문자열 숫자 변환
- 자료형
- 프로그래머스
- 프로젝트 생성
- 온프레미스
- 유클리드 호제법
- 백준
- 최대공배수
- 웹 서버
- 홀수
- 리스트
- 11652
- valueof
- algorithm
- 11004
- INT
- 짝수
- 2진수
- aws
- IntelliJ
- java
- PaaS
- 알고리즘
- Python
- 최대공약수
- 데이터타입
- level1
- IaaS
- parseInt
- SaaS
Archives
- Today
- Total
Ga0Lee
Chapter01-02 클라우드란? 본문
클라우드 서비스란?
인터넷 쇼핑몰, 올라인 게임, 사내 업무 시스템과 같이 어떠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컴퓨터와 데이터베이스 같은 기능이 필요한데 이런 기능을 인터넷을 통해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를 클라우드 서비스라 한다.
온프레미스(on-premise)란?
- 사용자가 관리하는 시설 내에 서버 등의 기기를 설치해 운용하는 환경
- 데이터 센터 :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관렬 기기를 준비하고 운용하는 시설
클라우드(cloud)란?
-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서버 등의 기기를 준비하고 거기에 구축된 가상 서버나 응용 프로그램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이용료를 받는 형태
- 정식 명칭은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 사용자에게는 보이지 않지만 중앙의 서버 컴퓨팅 자원을 활용해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하는 플랫폼
- 클라우드 사업자의 자산(데이터 센터)을 서비스로 제공
- 세계 어딘가에 물리적인 기기가 존재하지만 사용자가 신경 쓸 필요가 없음
- 하지만 사용자는 제공되는 서비스 범위 내에서만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 구성 자유도가 낮음
- 매월 각종 서비스 사용료를 지불해야 하므로 전체 비용이 커질 수 있음

가상화
- 클라우드 서비스에서도 사용자는 서버를 임대하기 위해 사용하고 싶은 사양으로 서버를 선택하게 되면 가상화 기술을 이용해 해당 사양의 서버를 가상으로 생성해 사용
- 가상 서버는 하나 또는 클러스터링된 물리 서버 내에 만들어짐
- 스토리지나 네트워크 장비 등도 1대의 기기를 가상화 기술로 여러 기기처럼 취급할 수 있음
서버리스(serverless)
서비스가 이용될 때만 서버를 가동하는 방식
개방형 클라우드와 폐쇄형 클라우드
클라우드 서비스는 사용 형태에 따라 개방형 클라우드와 폐쇄형 클라우드로 나눌 수 있다.
폐쇄형 클라우드
- 기업 내부의 비밀을 유지하기 위해 외부에 공개하지 않도록 기업 내부에 구축하는 형태
- 폐쇄형 클라우드는 온프레미스에 가까움
- 사용자는 시설 내부에 클라우드 컨테이너를 두고 전용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해서 사용
개방형 클라우드
- 모든 사람이 쓸 수 있게끔 공개된 형태. AWS는 모든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개방형 클라우드 형태
- AWS에는 전용 기기를 사용자에게 할당하는 베어메탈 서비스, 가상으로 사용자의 점유 공간을 제공하는 VPC 서비스가 있는데, 이용이 끝나면 대여한 서버를 다른 사용자에게 다시 대여할 수 있으므로 개방형 클라우드임
서비스 제공 형태에 따른 클라우드 분류
SaaS(Software as a Service)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응용프로그램을 가상화하여 제공
PaaS(Platform as a Service)
- 응용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한 기능을 서비스(플랫폼)로 제공
-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는 OS 및 미들웨어까지 관리하고, 필수 기능만 사용자에게 제공
- AWS에서 관리형 서비스로 제공하는 RDS, DynamoDB, Lambda 등이 여기에 해당
IaaS(Infra as a Service)
- 컴퓨팅 리소스(서버, 네트워크)를 가상화하여 서비스로 제공
-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는 서버 및 네트워크 기능만 제공하며 설정과 관리는 사용자의 몫
- AWS의 EC2, VPC, EBS 등이 여기에 해당

그림과 작동 원리로 쉽게 이해하는 AWS 구조와 서비스 - 예스24
풍부한 그림과 알기 쉬운 설명으로 핵심 AWS 서비스를 한눈에 이해한다!전 세계적으로 클라우드 서비스의 이용이 활발해지고 있어 클라우드의 활용은 이제 비즈니스에서 빼놓을 수 없게 됐다.
www.yes24.com
'AWS > 그림과 작동 원리로 쉽게 이해하는 AWS 구조와 서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ter03 AWS를 이해하기 위한 6가지 특징 (0) | 2024.04.2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