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2진수
- 백준
- aws
- 프로젝트 생성
- SaaS
- Python
- algorithm
- 최대공배수
- 최대공약수
- INT
- PaaS
- level1
- parseInt
- valueof
- 데이터타입
- 웹 서버
- IntelliJ
- 자료형
- 리스트
- 유클리드 호제법
- 알고리즘
- 11652
- 온프레미스
- 프로그래머스
- 문자열 숫자 변환
- 홀수
- java
- IaaS
- 짝수
- 11004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15)
Ga0Le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QvwNU/btrA3iruOL8/kBZZt7pWPfFDmV9uZopThk/img.png)
2진수 컴퓨터에서 데이터는 0과 1로만 저장됩니다. bit(비트) : 컴퓨터가 표현하는 데이터의 최소 단위로 2진수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의 크기 byte(바이트) : 1byte = 8bit 전자기기에서 2진수가 음수인지 양수인지 아는 방법은 최상위 비트를 보고 판단합니다. 보통 int(32bit)를 많이 사용하니 이를 예시로 설명하자면,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101 : 5 1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101 : -5 위와 같이 최상위 비트가 0이면 양수, 1이면 음수입니다. 2진수, 8진수, 16진수를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예제 프로그램에서 10진수 이외의 다른 진수 형태로 표현하기 위해선 접두어를 붙여줘야 합니..
클라이언트가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얻는 수단은 보통 public 생성자이다. 하지만 클래스는 생성자와 별도로 정적 팩토리 메서드(static factory method)를 제공할 수 있다. 아래의 valudOf 메서드는 기본 타입인 boolean 값을 받아 Boolean 객체 참조로 변환하는 정적 팩토리 메서드이다. public static Boolean valueOf(boolean b){ return b ? Boolean.TRUE : Boolean.FALSE; } 정적 팩토리를 사용하는 이유는 크게 다섯 가지로 볼 수 있다. 1. 이름을 가질 수 있다. public 생성자를 통해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생성하면 파라미터와 생성자 자체만으로 반환될 객체의 특성을 제대로 설명하기 어렵다. 반면 정적 팩토리 메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IYSOQ/btryowyZdaX/Ymc1bIkggDXUNkqvkt8OcK/img.png)
1. New Project 버튼 클릭 2. 왼쪽 탭에서 Java를 선택하고 Project SDK에서 설치한 JDK 버전을 선택한다. 저같은 경우는 14버전을 선택했습니다. 그리고 Next 버튼을 클릭합니다. 3. Next 버튼 클릭합니다. 4. Proejct name에 원하는 프로젝트 이름을, Project location에 원하는 파일 위치를 설정하고 Finish 버튼을 누르면 Java 프로젝트 생성 완료!!!!! 5. 왼쪽 탭에서 src>New>Package 6. Package 이름을 입력하고 Enter 7. ch01>New>Java Class 선택 8. Class 이름을 입력하고 Enter 9. Enter 후 뜨는 화면입니다. 10. psvm이라는 단축어를 쓰고 Enter 11. public sta..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SCodO/btrsW9QJNNu/poX5xnaB5vYhqpvb4h2iEK/img.png)
쉘(shell) : 사용자와 컴퓨터 하드웨어 또는 운영체제간 인터페이스 - 사용자의 명령을 해석하고 커널에 명령을 요청 - 관련된 시스템콜을 사용해 프로그래밍됨 pwd : 현재 디렉토리 위치 mkdir : 디렉토리 생성 cd : 디렉토리 변경 ls : 파일 목록 출력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fm5As/btrqOhilMUM/R2kxynAsBbXHHoed5pcBo0/img.png)
코드 import sys str = sys.stdin.readline().rstrip() arr = [] for i in range(len(str)): arr.append(str) str = str[1:] arr.sort() for i in arr: print(i) 입출력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ueXD1/btrqNfkX9oP/mzR0z7wOlImv7c85zCKJMk/img.png)
코드 import sys a, b, c, d = input().split() num1 = "" num2 = "" num1 += a+b num2 += c+d print(int(num1) + int(num2)) 입출력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XcQCk/btrqT0UoEtL/6koVkOJe3BVHq3zkNxGUA0/img.png)
코드 import sys str = sys.stdin.readline().rstrip("\n") ROT13 = "" for i in str: if 'a'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INum6/btrqRUtlJB4/mGvV98EHPkN1PUQJfk0EWK/img.png)
코드 import sys str = sys.stdin.readline().rstrip("\n") print(len(str)) 엔터 입력을 무시해줘야 정확한 단어 길이가 나온다. rstrip("\n")가 없는 경우 아래 단어의 출력 값이 9로 나온다. 입출력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x4gXh/btrqXxqChw9/1F3OpzXjib1025rdWKHcI1/img.png)
ASCII CODE 값 'A' ~ 'Z' : 65 ~ 90 'a' ~ 'z' : 97 ~ 122 0 ~ 9 : 48 ~ 57 코드 import sys while True: str = sys.stdin.readline().rstrip("\n") if not str : break alphabet =[0] * 4 for i in str: if ord(i) > 96 and ord(i) 64 and ord(i) 47 and ord(i) < 58 : alphabet[2] += 1 elif i == " " : alphabet[3] += 1 print(*alphabet) str =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uDYhD/btrqMDF6br7/NvblGE0RCu7Ko52iOkkPR0/img.png)
알파벳 개수 찾는 문제와 거의 동일하다. 리스트를 -1로 초기화하고 해당 알파벳의 인덱스에 입력받은 알파벳의 인덱스 값을 넣어주면 된다. 코드 import sys alphabet =[-1] * 26 str = sys.stdin.readline().rstrip() for i in range(len(str)): if(alphabet[ord(str[i]) - 97] == -1 ): alphabet[ord(str[i]) - 97] = i print(*alphabet) 입출력